[5분 안에 이런 내용을 알려드려요!]
•
‘언제 입대해야 가장 꿀 빨 수 있을까?’ 궁금해하는 입대 예정자분들을 위해
•
‘카더라’가 아닌, 장병들이 군돌이에 작성한 ‘진짜 이야기’를 바탕으로
•
입대 시기별 장단점과 추천 입대 시기를 정리해 왔어요!
Chapter 01. 훈련을 피할 수 있는 입대 시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입대 예정자분들이 입대 시기를 추천받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유격 · 혹한기 훈련’을 최대한 피하고 싶기 때문일 거예요. “몇 월에 입대해야 유격 · 혹한기 훈련을 안 받냐?” 이런 건데요.
안타깝게도 이건 예측이 불가능해요. 훈련 시기가 너무 광범위하거든요. 유격 · 혹한기 훈련을 진행하는 시기는 보통 아래와 같아요.
•
•
보시면 알겠지만, 혹한기 훈련까지는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고 쳐도, 유격 훈련은 정확히 언제 진행하는지 절대 예측할 수 없어요. 사실상 운에 맡겨야 하는 영역인 건데요.
그래서 입대 시기를 정할 때는 ‘훈련을 몇 번 받냐?’ 보다는 ‘미리 세워둔 본인만의 기준’을 바탕으로 결정하는 걸 추천드려요.
군돌이(@goondori_official) 1만 팔로워 달성 기념 무물 진행 당시 사진. 훈련소 입대 시기와 관련된 질문들이 많았다.
군돌이
Chapter 02. 입대 시기를 정하는 기준
본인만의 기준을 세운다는 말은 곧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포기할지’ 결정한다는 말이기도 한데요. 앞서 말했듯이 모든 걸 챙길 수 있는 완벽한 입대 시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를 챙겼으면 다른 하나는 포기해야 해요.
입대 시기를 결정함에 있어, 여러분이 선택할 수 있는 요소는 아래와 같아요.
① 혹한기 횟수 (1번만 하기 vs 2번 하기)
유격하고 다르게 혹한기 훈련은 시기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요.
그래서 혹한기를 한 번만 받을지, 또는 두 번 받을지. 본인이 선택해서 입대할 수 있어요.
② 훈련소 생활 (여름 vs 겨울)
여름에 훈련소를 들어가면 폭염 때문에 훈련을 설렁설렁하는 편이에요. 훈련병들의 편의도 많이 봐주는데요. 그러다 보니, 훈련소는 여름에 들어가는 게 더 편해요.
반면 겨울에 훈련소를 들어갈 경우, 제설 작업은 제설 작업대로 하면서 훈련은 훈련대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즉 정리하자면 ‘더우면 쉬엄쉬엄 훈련하지만 추우면 춥다고 봐주는 거 없이 진행한다’
③ 예비군 (빠르게 1년 차 시작 vs 6개월 손해 보기)
전역 후에는 ‘예비군 0년차’로 대기 상태에 있다가, 예비군 1년차부터 소위 말하는 ‘예비군 훈련’을 6년 동안 받게 되는데요. 예비군 1년차가 시작되는 기준은 ‘전역 후 다음 연도 1월 1일부터’ 예요.
예를 들어 ① 본인이 2025년 12월 25일에 전역했다면, 2026년 1월부터 바로 예비군 1년차가 시작되는 반면
② 2025년 1월 3일에 전역했다면 2026년 1월이 될 때까지. 약 1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셈이에요.
거의 1년 가까이 빨리 전역했는데 예비군은 똑같이 끝난다는 거죠.
④ 모집병 경쟁률
공군 · 해군 지원을 희망하거나, 육군 모집병으로 지원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경쟁률을 잘 살펴봐야 하는데요.
보통 경쟁률이 매우 높은 기간과 경쟁률이 평균보다 낮은 기간이 정해져 있는 편이라, 이런 점을 잘 살펴보고 입대 시기를 정하면 좋아요.
참고로 공군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3·4월이 경쟁률이 제일 높고 11·12월이 경쟁률이 제일 낮아요.
⑤ 3 · 6개월 동기제
육군의 경우 3개월 동기제 · 6개월 동기제라는 걸 시행해요. 이게 뭐냐면 분기 또는 반기별로 동기를 묶는 제도예요.
예를 들어 3개월 동기제라면 1월 입대자와 3개월 입대자가 동기 취급을 받고, 6개월 동기제라면 1월 입대자와 6월 입대자가 동기 취급을 받아요.
내가 6월에 입대했는데 1월에 입대한 사람이 선임이 아니라 나랑 똑같은 동기다? 말 안 해도 꿀 냄새가 스멀스멀 나죠?
⑥ 복학 시기
대학생이라면 전역 월과 복학 시기를 계산해 봐야 해요. 참고로 군별 입대 월과 전역 월은 아래와 같아요.
육군 (18개월)
입대 월 | 전역 월 |
1월 | 7월 |
2월 | 8월 |
3월 | 9월 |
4월 | 10월 |
5월 | 11월 |
6월 | 12월 |
7월 | 1월 |
8월 | 2월 |
9월 | 3월 |
10월 | 4월 |
11월 | 5월 |
12월 | 6월 |
해군 (20개월)
입대 월 | 전역 월 |
1월 | 9월 |
2월 | 10월 |
3월 | 11월 |
4월 | 12월 |
5월 | 1월 |
6월 | 2월 |
7월 | 3월 |
8월 | 4월 |
9월 | 5월 |
10월 | 6월 |
11월 | 7월 |
12월 | 8월 |
공군 (21개월)
입대 월 | 전역 월 |
1월 | 10월 |
2월 | 11월 |
3월 | 12월 |
4월 | 1월 |
5월 | 2월 |
6월 | 3월 |
7월 | 4월 |
8월 | 5월 |
9월 | 6월 |
10월 | 7월 |
11월 | 8월 |
12월 | 9월 |
Chapter 03. 입대 월별 장단점
① 1분기 (1월 ~ 3월)
장점
•
1월과 2월은 혹한기를 한 번만 할 가능성이 ‘99%’예요. 훈련소 수료하고 자대배치 받으면 2월 ~ 3월인데, 보통 그즈음에는 혹한기 훈련을 이미 다 받은 상태거든요.
•
3월은 무난무난해요. 다만 자대가 3개월 동기제라면 이야기가 약간 달라지는데요. 3개월 동기제면 개이득이고 6개월 동기제여도 중간에 걸치는 군번이니까 괜찮은 편이에요.
•
전역 날짜도 무난무난해요. 육군 기준으로 7월 ~ 9월에 전역해요.
단점
•
훈련소가 매우 추울 거예요. 특히 1월 군번은 훈련소에서부터 제설 작업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왜 군대에서 눈을 보고 ‘하늘에서 내리는 쓰레기’ 라고 부르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될거예요..
•
2월 군번은 훈련소 기간과 설날 기간이 겹쳐서 훈련소 생활을 남들보다 1주 ~ 1주 반 더 길게 해요.
•
공군의 경우에는 3~4월 경쟁률이 가장 높아요.
② 2분기 (4월 ~ 6월)
장점
•
4월은 그냥 전반적으로 무난무난해요.
•
5~6월은 육군 기준으로 했을 때, 전역 월이 11~12월이에요. 앞서 말했듯이 전역하자마자 예비군 1년차가 시작되는 건데요.
•
전역과 예비군 시작 사이의 텀이 짧기 때문에, 남들보다 예비군이 좀 더 빨리 끝난다는 게 장점이에요.
•
지금 당장은 ‘이게 왜 이득이야?’ 하고 체감이 안 될 수도 있는데, 전역하고 1~2년만 지나도 엄청난 이득이라는 걸 알게 될것 ..
•
6월은 3개월 동기제여도 끝에 걸치고, 6개월 동기제여도 끝에 걸쳐요. 즉 자대가 ‘3 · 6개월 동기제’를 시행 중인 부대라면, 무조건 꿀을 빨 수 있는 군번인 셈.
단점
•
6월부터 슬슬 더워지기 시작하는데요. 문제는 애매하게 덥다는 거예요. 차라리 폭염 수준으로 더우면 훈련을 쉬엄쉬엄 하는데, 애매하게 더우면 땀은 땀대로 흘리고 훈련은 훈련대로 다 받을 가능성이 높아요.
③ 3분기 (7월 ~ 9월)
장점
•
7~8월에 입대하면 폭염때문에 훈련소 생활이 편해요. 훈련을 쉬엄쉬엄하고, 훈련병들의 휴식 여건을 최대한 보장하거든요.
단점
•
7~8월 군번의 경우 운이 나쁘면 자대를 가자마자 유격 훈련을 받으러 갈 수도 있어요.
•
무엇보다도 7~9월 군번은 육군 기준으로 전역 월이 1~3월인데요. 예비군 1년차가 될 때까지 거의 1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남들보다 예비군이 늦게 끝나는 느낌이 들어요.
•
9월 군번은 훈련소 기간과 추석이 겹쳐서 훈련 기간이 1주 ~ 1주 반 더 길어지기도 하고요.
④ 4분기 (10월 ~ 12월)
장점
•
공군이라면 이득을 볼 수 있어요. 이 시기에 경쟁률이 보통 가장 낮아요.
단점
•
10월, 11월 군번은 혹한기가 사실상 무조건 두 번이에요.
•
12월 군번의 경우에는 훈련소에서부터 제설 작업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고요.
•
무엇보다 겨울 군번은 추워서 훈련소 생활이 힘들어요. 특히 교장 거리가 먼 논산 훈련소의 경우에는, 훈련 교장까지 이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더 힘들다고 ..
Chapter 04. 전역 시기와 예비군 훈련
모든 현역 군인과 사회복무요원 · 상근예비역들은 전역 후 ‘예비군’으로 편성이 되는데요.
예비군 1년차부터 4년차까지는 연 1회, 5년차 · 6년차는 연 3회 예비군 훈련을 받아요.
즉 예비군 6년차까지 끝나야 비로소 군대로부터 해방된다고 볼 수 있는 건데요. 그러다 보니 예비군은 이왕이면 빨리 시작해서 빨리 끝내는 게 좋다는 평이 많아요.
바로 이 때문에 1월 전역이 손해라고 하는 거고요. 왜냐하면 전역 후 다음 연도부터 예비군 1년차가 시작되기 때문에, 2025년 1월에 전역했다면 2026년 1월이 될 때까지 예비군 훈련을 받고 싶어도 받을 수가 없거든요. 거의 1년 가까이 기다렸다가, 예비군을 늦게 시작하는 셈이 되는 거죠.
특히 본인이 대학생이라면 이 단점은 더 크게 다가올 거예요. 예비군 훈련 중 꿀 of 꿀이라고 소문 난 학생 예비군을 사실상 1년 통으로 날리는 셈이 되기 때문 ..
정리
1.
좋은 것만 모아놓은 완벽한 입대 시기란 존재하지 않는다.
2.
뭘 선택하고 뭘 버릴지 먼저 결정하고, 그 기준에 맞춰 입대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더 알아보기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돼요. 군돌이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 변형할 수 없어요.
매일 저녁, 군인과 관련된 뉴스를 선정해서 전달해요.
매주 금요일, 군돌이에서 발행하는 자체 기획 콘텐츠예요.
군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꿀팁과 혜택들을 담아놓았어요.
입대 예정자, 곰신, 가족 등 군대가 궁금한 독자를 위해 준비한 군대 가이드예요.